대형산불 겪은 박완수 "국토 안전관리 체계, 다시 설계해야"박완수 경남지사는 산청·하동 대형산불을 계기로 "국토 안전 관리 체계를 근본적으로 다시 설계해야 한다"고 정부·여당에 촉구했다.
박 지사는 3일 국회에서 열린 '산불 피해 대책 당정협의회'에 참석해 이렇게 말하며 현재의 산불 대응 체계의 한계와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.
그는 "험한 산악 지형과 국립공원 내 임도가 없어 야간 진화대 투입이 어려웠다"며 "산불 예방과 신속한 대응을 위해 국립공원 임도 개설이 필요하다"고 말했다.
이어 "국립공원 내 임도나 저수조 등 기본적인 진화 기반이 전혀 갖춰져 있지 않은 상황"이라며 "국립공원 관리 체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"고 덧붙였다. 또, 산불 피해 지역에 대한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도 당부했다.
박 지사는 "지금과 같은 헬기 규모로는 앞으로 대형 산불 진화가 어렵다"며 "특히 야간 산불의 경우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수준인데, 드론이나 조명 타워 등 특화된 야간 대응 장비 확충 등 특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"고 강조했다.
이어 피해 이재민 지원 대책의 개선도 주문했다. 박 지사는 "현재 주거비 지원은 2~3천만 원 수준인데, 실제 집을 짓는 데는 억 단위의 비용이 든다"며 "지원 기준을 대폭 현실화해야 한다"고 말했다.
박 지사는 "이번에 진화 작업 중 공무원을 포함해 4명이 희생됐다"며 "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전문 진화대는 인력 구성도 열악하고 보수도 낮아 운영이 어렵다"고 설명했다.
그러면서 "전문 진화대를 공무직으로 전환하고, 인건비를 중앙 정부 차원에서 지원해 달라"고 요청했다.
박 지사는 산불 피해 복구 지원과 예방을 위한 정책 제안 6건, 국비 17개 사업을 건의하며 "정부 예산안에 반영되도록 국민의힘과 정부가 힘써 달라"고 당부했다.
경남도가 건의한 주요 정책은 산불 피해 특