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남도청 제공 경상남도가 3일 긴급 경제·산업회의를 열고 미국 상호관세 부과 정책 대응에 나섰다.
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최소 10% 이상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, 한국에는 25%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.
하지만 상호관세로 인해 미국 내 수입품 가격이 올라 수요가 위축될 가능성이 크고, 발표한 관세 수입을 거두기 어려워지면 미국 경제가 활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.
도에 따르면, 올해 1~2월 도내 누적 수출액은 69억 4200만 달러로, 무역수지는 30억 달러 흑자다.
미국 수출액은 도내 수출액의 23%인 16억 2300만 달러로,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7.1% 감소했다. 주력 수출 상품인 자동차는 18.1% 증가했고 가전과 자동차 부품은 각각 28.5%, 11.8% 감소했다. 미국으로 수출하는 도내 기업은 1500여 개에 이른다.
경제에 부정적인 영향도 우려된다. 미국 수입 제품의 가격이 오르면 미국 내 물가가 상승하고, 물가 상승을 억제하고자 고금리 정책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. 이는 달러화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져 대미 환율이 상승해 '고환율→고물가→고금리' 악순환으로 민생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.
도는 이날 회의에서 대미 수출기업의 경영 안정을 위한 정책자금 100억 원을 신설해 기업당 최대 5억 원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. 또, 수출 기업당 200만 원의 물류비 지원과 수출보험 8종·수출보증 6종·수입보험 2종에 가입할 수 있는 수출보험료를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.
오는 9일에는 한국은행 경남본부, 한국무역보험공사, 코트라 경남본부 등 관련 기관, 상호관세 영향을 받는 기업과 대책을 논의한다.
경남도 김명주 경제부지사는 "지역 경제 회복과 민생 경제 안정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다양한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"이라며 "정부 대책이 나오면 도내 대미 수출 기업이 최대한 혜택을 받도록 노력하겠다"고 말했다.